본문 바로가기

─〃나름공부이야기

야스카와 인버터 G7 TOOL, DriveWizard Plus 사용하기

* 아래 정보는 그냥 실습하다가 생각을 적어놓은 것이며, 절대 정확하지 않음을 알린다.


야스카와 인버터 G7 을 노트북 TOOL에 연결해봤다.

종표가 세팅해놓은 모터와 인버터, 그리고 이 인버터에 8핀 RJ45 잭에 RS-232C 케이블을 연결했다.

RJ45 잭과 RS-232 간 케이블은 다행히도 탁사마가 만들어 두었는 지, 그걸 사용했다.

물론 RS-232C은 EPC용으로 사용하는 RS-232C to USB 케이블을 사용했다.



모터는 2.2kW, 안 쓰는 모터를 사용했다.



케이블을 노트북까지 연결해놓은 상태다.



인버터에 케이블이 꽂힌 상태다.



인버터는 3.7kW용을 사용했으며, 공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야스카와 G7이다.



모터와 인버터가 연결해놓은 상태다.

굳이 케이블 제단할 필요없이, 남는 케이블로 종표가 잘 연결해뒀다.



야스카와 전용 프로그램은 "DriveWizard Plus"이다.

야스카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.

간단한 회원가입은 필요하다.


일단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, 위 캡쳐화면과 같이, 팝업이 나타난다.

일반적으로 통신 연결 상태를 자기가 알아서 확인하는 듯 하다.

다시 말해 RS-232C to USB 케이블이 연결된 PORT가 COM1이었는데,

프로그램이 알아서 잡는 듯 했다.

만약 못 잡으면, 번거롭더라도 제어판 - 장치관리자에서 세팅을 변경해준다.


통신 연결이 잘 잡으면, 모터 테스트를 할 수 있다.


아래는 메뉴얼로 모터 동작을 시키고자 할 때 사용된다.



프로그램은 한글판이 아니나, 간단한 영어만 쓸 줄 알면,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는 듯 하다.

주파수 설정을 적용하고,

FORWARD로 구동할 지, REVERSE로 구동할 지 정해준다.

구동을 멈추려면 STOP 버튼을 누른다.


아래는 패턴 구동이라고 해서,

미리 어떤 식으로 모터를 구동할 지, INVERTER를 세팅해놓는 거다.

몇 초 뒤에는 몇 Hz로 구동하고, 몇 초 뒤에는 정지하고, 몇 초 뒤에는 역방향으로 구동하고,

그런 것들을 세팅할 수 있다.


다만, 주의할 것은 (뭐 물론 프로그램이 주의를 준다),

Stop 시간 세팅은 Decel Time (감속시간) 파라메타를 생각해서 정해야 한다는 것이다.


Decel Time은 최고 출력 주파수 100%에서 0%가 되기까지의 감속시간을 의미하며,

기본적으로 10초로 설정되어 있다.


따라서, 60Hz가 100%라고 하면,

30Hz로 구동시키면 50%를 의미한다.

이는 곧 Decel Time이 5초는 되야 하며, Stop 시간을 5초 이상으로 설정해줘야 한다는 것이다.


만약 4초나 3초 등으로 해놓으면 경고 메시지가 뜬다.



구동을 시키면, 세팅된 값에 따라, 그래프 (시간-주파수) 가 표현된다.




아래에서 파라메타 구성 상태를 볼 수 있다.



아래에서는 유저가 변경한 파라메타가 별도로 표기되는 것을 캡쳐했다.

종표가 모터 정격 용량, 전류, 전원만 변경해뒀다.



아래는 모터 정지 방법과 관련한 파라메타다.

보통 인버터 출하 시, 감소 후 정지인 "0. Deceleration to stop" 로 세팅되어 있다.

지멘스 PLC 확인할 때, 저 의미에 대해서 공부했었다.



아래는, 위에서 이야기한 Decel 디셀 타임과 엑셀 타임에 대한 파라메타다.



아래는 G7 메뉴얼에서 발췌한 내용이다.

위에서 이야기한 것들이 적혀있다.



아래는 프로그램에 내장된 오실로스코프 화면이다.



그 밖에 기능이 있겠지만,

그보다 중요한 것은 결국 파라메타가 아닐까 싶다.

중요한 파라메타, 혹은 유용한 파라메타를 많이 알면 좋겠지만,

차차 알아가지 않을까 싶다.